원운영 > 뉴스&이슈
제목 | [인터뷰] 최성애 박사가 전하는 회복탄력성&감정코칭 | ||||
---|---|---|---|---|---|
날짜 | 2015-07-28 | 조회 | 1,841 | 좋아요 | 1 |
최성애 박사가 전하는 회복탄력성&감정코칭 아이들의 성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적요인 교사. 제2의 부모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인성과 능력 계발 등 발달과 관련한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다. 그만큼 어떤 말과 행동으로 아이를 대하느냐는 매우 중요하다. 아이들이 건강하고 튼튼한 성장의 뿌리를 가지고 자라도록 돕는 방법은 무엇일까? 최성애 박사가 전하는 회복탄력성과 감정코칭을 통해 알아보자.
회복탄력성이 높으면 스트레스에 잘 대응하고 역경이나 예기치 않은 일에 부딪쳤을 때 상황에 휘둘리면서 나타나는 신체적, 감정적에너지 고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사실은 미국의 Heartmath 연구소에서 이루어진 20년의 연구 결과로 입증되었고 그 효과가 우수하여 미국에서는 교사, 소방관, 경찰관, 군인 등이 회복탄력성 훈련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영유아 교사들도 회복탄력성에 대해 관심을 두고 직접 실천해보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다음 2단계로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려 노력합니다. 다행스러웠던 순간, 고마웠던 기억, 나를 편안하게 만드는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입니다. 꽃을 감상한다거나 행복했던 모습이 담긴 사진을 보는 등 그 방법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화났을 때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기가 쉽지 않지만, 평소 꾸준히 연습하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2단계를 해내지 못하더라도 심장집중 호흡만으로 약 1,400여 가지의 모든 교감과 부교감이 일치되는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스트레스로 인한 에너지 고갈을 차단하여 회복탄력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심장집중 호흡법으로 아이의 마음을 진정시킨 후 감정코칭을 이어서 진행한다면 어떨까요? 감정코칭을 적용할 때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이 갈등 상황에서는 아이의 장난감을 돌려받고 싶은 욕구와 억울하고 화난 감정 에너지를 이해해주는 과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리고서 “어떻게 하면 친구를 때리지 않고 장난감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라며 한계 안에서 선택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때 장난감을 주지 않으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교사가 “5분 후에 바꾸어 놀면 어떨까?”라며 중재역할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합니다. 아이는 5분이 긴 시간으로 느껴지겠지만 규칙 안에서 욕구를 존중받는 느낌을 받기 때문에 충분히 기다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스스로 해결책을 선택하는 기회를 반복적으로 경험한 아이는 자유롭고 자발적이인 모습을 갖추며 성장할 것입니다. 감정코칭을 실시하는 원장과 교사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입니까? 또한 감정코칭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자신이 감정에 대한 감정 즉, 초감정을 잘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초감정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감정은 어렸을 적 무의식적으로 형성되어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담을 통해 바르게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기를 바랍니다. 취재 조윤진 기자 | 위 컨텐츠는 월간)꼬망세 본책 2015년 08월 [NOW 인터뷰]에 실린 내용의 일부입니다. 월간)꼬망세에는 더 많은 정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자 ⓒ 꼬망세 매거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남기기 |
댓글 0건